당랑거철
[ 螳螂拒轍 ] 사마귀가 수레바퀴를 막아서다
螳 사마귀 당, 螂 사마귀 랑, 拒 막을 거, 轍 바퀴 자국 철
한나라, 회남왕 유안이 펴낸 《회남자》는 도가 · 법가 · 유가 · 병가 등 여러 학설을 모아서 엮은 백과사전 같은 책이다. 그래서 잡가1)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이 책에 흥미로운 사마귀 이야기가 나온다.
춘추시대, ‘장공’이라는 제나라 왕족이 있었다. 하루는 수레를 탄 그가 사냥터에 가고 있었다. 길을 오가는 사람들은 모두 왕족의 행차에 무례를 저지르지 않으려고 길가에 멀찌감치 물러섰다. 그런데 웬 벌레 한 마리가 길 한가운데에서 앞발을 치켜들고 수레바퀴를 칠 듯이 덤벼들었다. 수레가 벌레를 깔고 지나치려는 순간, 장공이 급히 수레를 멈추게 하고는 마부에게 물었다.
“도대체 저 벌레는 무엇이냐?”
“사마귀입니다.”
당랑거철
어려서부터 궁에서 자란 장공에게 사마귀는 처음 본 희한한 벌레였다. 삼각형 머리에 눈알은 튀어나왔으며, 기다란 더듬이가 채찍 두 개 같았다. 앞가슴은 가늘었으나 배는 크게 부풀었으며 앞발은 마치 톱니가 달린 낫 같았다. 물끄러미 벌레를 보던 장공이 혀를 차며 말했다.
“참, 맹랑한 놈이로군. 수레를 칠 듯한 기세 아니냐?”
“저놈은 앞으로 나아갈 줄만 알지 물러설 줄은 모르며, 제힘도 생각지 않고 마구 덤벼드는 버릇이 있사옵니다.”
“저 벌레가 사람이라면 틀림없이 용감한 장군이었으리라. 벌레이지만 그 용기가 기특하니 수레를 돌려 피해 가라.”
마부는 그 말을 따라 길 옆으로 사마귀를 비껴갔다.
이 이야기에서 ‘당랑거철(螳螂拒轍)’이 비롯했다. “사마귀가 앞발을 쳐들고 수레를 막는다”라는 뜻으로 자기 힘도 모른 채, 함부로 덤벼듦을 빗대는 말이다. 이를테면 공자 앞에서 문자를 쓰고 항우장사2) 앞에서 힘자랑하는 애송이처럼 어리석기 짝이 없는 짓을 당랑거철이라 할 만하다. 약자에게 이해와 배려를 보여 준 장공 덕에 살아남은 사마귀는 어리석었지만 그 무모함으로 자기 목숨을 구했다. 어린 시절 혹은 청소년 시절에는 이 사마귀와 같은 도전 정신이 필요하기도 하다.